2020 부산국립국악원 정기공연 성찰Ⅱ

CLICK TO SCROLL

가사 "백구사"

음원 백구사 홍원기, 1960년경 킹스타
음원제공 국악음반박물관

신민요 “노랫가락”, “신밀양아리랑”, “꼴망태아리랑”, “초가산간”

음원 꼴망태아리랑 김용환, 1939년 빅터
음원제공 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 춘향가 중 “천자풀이”, “사랑가”, “이별가”

음원 사랑가 김창룡, 이화중선, 오비취, 권금주, 1934년 콜롬비아 음원제공 국악음반박물관

가야금병창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 “고고천변”

음원 화공을 불러라 오태석, 1932 빅터
음원제공 국악음반박물관

판소리 춘향가 중 “천자풀이”, “사랑가”, “이별가”

음원 사랑가 김창룡, 이화중선, 오비취, 권금주, 1934년 콜롬비아 음원제공 국악음반박물관

가야금병창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 “고고천변”

음원 화공을 불러라 오태석, 1932 빅터
음원제공 국악음반박물관

영남민요 “쾌지나칭칭나네”

Ⅰ. 가사 “백구사”

백구사는 12가사 중 풍류음악의 품격과 취향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노래로 남자 가객들의 애창곡이다. 노래의 주제는 관직에서 물러난 선비가 자연에 귀의하여 백구와 벗이 되어 풍류를 누리겠다는 내용이다. 선율 진행은 매우 잔잔하고 평의하여, 선비들의 문화 취향을 점잖게 표현하는 풍류 노래의 진면목을 전해준다. 오늘은 새롭게 편곡하여 남자, 여자 가객의 2중창으로 선보인다.

가사 이희재, 김윤지 작곡·편곡 김백찬
반주 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무용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Ⅱ. 신민요 “노랫가락”, “신밀양아리랑”, “꼴망태아리랑”, “초가삼간”

노랫가락은 본래 무당이 신명을 즐겁게 놀게 하는 굿거리에서 부르던 노래였는데, 청중들에게 인기가 좋아지면서 민요로 뿌리를 내렸다. 1939년 일제 강점기에는 서양악기와 국악기의 합주로 반주되어 흥미로움을 더한다.
신밀양아리랑은 1934년 민요가수 박부용이 오케이 선양교향악단 반주로 녹음하였다. 서양악기로 반주되면서 현행 밀양아리랑과 음악적 어법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구수한 창법으로 유명했던 김용환의 꼴망태아리랑은 밭고랑,꼴망태,무명수건,콩밭,외양간 등의 단어에서 전형적인 향토색이 묻어나는 노래다. 노래 도중에는 <아리랑>의 후렴을 사용했고, 소 울음소리도 있어서 친숙함과 실험성을 동시에 추구했던 곡이다.
초가삼간은 1930년대 신민요의 열풍이 일어난 후 1943년에 오케이레코드사에서 이화자에 의해 녹음되어 인기를 끌었던 곡이다.

신민요 이은혜 작곡·편곡 김백찬
반주 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Ⅲ. 가야금병창 판소리 수궁가 중 “토끼화상”, “고고천변”

판소리 수궁가는 병든 왕이 탄식하는 대목 등 슬픈 부분도 많지만, 토끼의 재기발랄한 면모를 보여주는 대목 등을 비롯해서 수궁과 육지에서의 해학적인 대목은 웃음을 자아낸다. 토끼화상 대목은 수궁가 중 눈대목으로 화공을 불러다가 토끼의 모습을 그리게 하는 장면이며, 고고천변은 별주부가 용왕의 병에 쓸 토끼의 간을 구하러 바깥세상에 나왔다가 산천의 경치에 감탄하여 부르는 대목이다. 오늘 공연에서는 오태석 명창이 1932년 빅터레코드사에서 녹음한 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가야금병창 신현주 작곡·편곡 김백찬
반주 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무용 김미자 무용단

Ⅳ. 판소리 춘향가 중 “천자풀이”, “사랑가”, “이별가”

1934년 콜롬비아 음반에서 제작했던 SP음반을 복각한 음원을 바탕으로 재현연주를 준비했다. 판소리 춘향가는 현 전해지는 판소리 5바탕 중 으뜸으로 꼽히는 것으로 여러 명창들이 아주 다양한 소리 스타일로 불러 전체 판소리 중에서도 가장 인기 높은 소리라 할 수 있다. 오늘은 김창룡, 이화중선, 오비취, 권금주 선생의 소리를 공부하여 무대에 올린다.

판소리 김미진, 신진원, 정윤형 작곡·편곡 김백찬
반주 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Ⅴ. 영남민요 “쾌지나칭칭나네”

쾌지나칭칭나네는 경상도 민요의 토속성을 간직하면서도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통속민요이다. 노래는 활달하고, 율동감이 넘치며 축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대중적으로도 큰 사랑을 받는 애창민요가 되었다. 영남민요의 메나리조 선율을 경상도의 방언처럼 투박하면서도 강한 악센트로 노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성악단 이희재, 김윤지, 이은혜, 김미진, 신진원, 정윤형, 신현주 작곡·편곡 김백찬 민요지도 배관호(금회북춤 보존연구원 원장)
반주 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무용 김미자 무용단